버켄헤드 호를 기억하라!(Remember Birkenhead)
세월호의 침몰은 예상치 않은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국민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이고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하고 있다.
다음은 1852년 조난으로 침몰한 영국의 수송선 버켄헤드에 관한 글을 소개한다. 참으로 숭고하고 장엄한 인간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150년 전의 영국사람에 비해 지금의 우리는 얼마나 초라하고 보잘것 없는 사람들인가! 성숙 덜 된 사람들이 바로 우리가 아닌가!
우리는 개인적, 국가적인 도덕관념을 바로 세워나가면서 반성을 해야한다. 물론 나도 절대로 예외일 수는 없다. 자기반성과 생각의 훈련을
통해서 도덕관념을 스스로 확립시켜 나가야 한다.
Remember Birkenhead!! "They were different from other soldiers whom just obey orders. Their faces, without even a
quiver in front of death, were not formed by trainings, but something outside our imagination was upholding them.
Although they knew that the command they had received meant death, they also knew that it would save lives.
Watching them sink into the water without a slight movement, endless tears kept flowing down from those eyes of the
women in the lifeboats." (John Wright, Birkenhead Survivor)
"그들은 단지 명령에만 복종하는 다른 병사들과는 달랐다. 죽음을 면전에 두고서도 떨림이 없는 그들의 얼굴은 훈련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고
상상을 넘는 어떤 것이 그들을 잡고 있었다. 그들에게 내려진 명령이 죽음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그들은 또한 이렇게 하는 것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조금의 동요도 없이 그들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보면서, 구명정에 탄 여자들의 눈에서는
끊임없는 눈물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 버큰헤이드 호의 생존자. 존 라이트)
Everyone, Assemble on The Deck! It was February 27, 1852, 2:00 a.m.. The Birkenhead, a troopship of British Navy, was
sailing along the African coastline with 472 British soldiers, 162 women and children. Unfortunately, the ship ran into a reef
about 65km away from Cape Town in Southern Africa. People woke up from the shock, and realized what was happening,
causing a big disorder in the ship. To make matters worse, a strong wave struck the ship against a rock again.
This impact split the ship into two. As the broken forward deck sank, people rushed toward the stern part of the ship.
It was just a matter of time for the other half to sink as well. The worst thing was that there were only three lifeboats left,
with a capacity of sixty people each. only 180 out of 630 people were able to ride. Moreover, that sea area was inhabited
by fierce sharks. As time went by, the remaining part of boat was sinking, and waves were getting worse.
전원, 갑판에 집합! 이 사건은 1852년 2월 27일 오전 2시에 일어났다. 영국해군의 수송선인 버켄헤드는 472명의 군인과 162명의 부인들과
아이들을 태우고 아프리카 해안을 항해하고 있었다. 불행하게도 배는 케이프타운에서 65키로 떨어진 지점에서 암초와 부딪혔다.
사람들은 충격으로 잠에서 깨어나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고는 대혼란을 일으켰다. 설상가상 강한 파도로 배는 다시 바위에 부딪혔다.
이 충돌로 배는 두 조각이 났다. 배의 앞쪽 갑판이 부서지자,사람들은 배의 후미로 쇄도하였다. 배의 나머지 반이 침몰하는 것은 시간의 문제였다.
최악의 상황은 60명을 태울 수 있는 구명정이 3대밖에 없다는 것이었다. 630명 중에 180명만 탈 수 있었다. 더우기 이 지역의 바다는 사나운
상어들의 서식지였다. 시간이 흐르면서, 배의 나머지 부분도 가라앉고 있었고, 파도는 더욱 거세졌다.
People were terrified in front of the fear of dying. If anybody tried to board the lifeboat first, it might cause a big panic.
At that time, the commander, Sydney Seton ordered harshly. "All soldiers must assemble on the deck now! Stand in a line!
Attention!” As soon as the commander gave the order, hundreds of soldiers ranked on board and stood firmly.
Soon second order was shouted out, “Women and children first!”
사람들은 죽음의 공포앞에서 혼비백산하고 있었다. 누구라도 구명정에 올라타려고 한다면 대혼란을 야기할 것이다.
이 때,사령관인 시드니 시튼이 엄하게 명령을 내렸다. "전원 갑판에 집합! 차려자세로 열을 지워 설 것!" 사령관의 명령이 내려지자,
수백명의 군인들은 갑판에 질서정연하게 섰다. 이어서 두번째의 명령이 외쳐졌다, "여자들과 아이들 먼저!"
A few anointed lifeguards quickly and silently ushered women and children into three lifeboats by. Meanwhile, other soldiers
on the deck didn’t budge as if they were holding a military review. As the ship was sinking down, the soldiers’ body was
sinking little by little. The commander, Sydney Seton began to speak, "If you cling to a lifeboat to live, it’ll definitely sink.
The soldiers exist to protect people. The ones who want to accomplish that mission, keep your position!” No one complained
nor moved. Their bodies were sinking down to the sea with the ship. The women on the lifeboats could not stop crying
watching the soldiers sink. At last, the Birkenhead disappeared under the water with soldiers.
Those who clung to the pieces of wreckage survived.
선정된 소수의 구조대가 재빠르고 침착하게 여자들과 어린아이들을 3대의 구명정으로 안내했다. 한편, 갑판에 있는 다른 군인들은
열병식을 하듯 꿈쩍도 하지 않았다. 배가 가라앉기 시작하면서 군인들의 몸도 조금씩 물에 잠기기 시작했다. 사령관 시튼은 말하기 시작했다.
"만약 여러분들이 살려고 구명정에 매달린다면, 구명정은 틀림없이 가라앉을 것이다. 군인은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이 임무를 수행하고 싶은 사람은 자리를 지켜라!" 아무도 움직이지 않았다. 그들의 몸은 배와 함께 바다속으로 가라앉기 시작했다.
구명보트에 탄 부인들은 군인들이 가라앉는 것을 보면서 울음을 멈출 수 없었다. 드디어, 버켄헤드 호는 군인들과 함께 물속으로 사라졌다.
부서진 조각에 매달린 군인들은 살아났다. However, nobody tried to go onto the lifeboats. As a result, people in the life boats and
some soldiers survived. This news about the Birkenhead shocked and impressed not only England but all around the world.
After this incident, many monuments were established for the soldiers of the Birkenhead in many places, and a new tradition had formed. In the past, when ships were wrecked, people trying to save their lives would result in chaotic scenes. It had killed many people. However, perception of “Women and children first!” spread out widely by the story of the Birkenhead. Especially,
it is said that in England a new tradition was formed. When they faced dangerous disasters on a ship, crew members began
to whisper to each other, "Remember the Birkenhead!"
그러나 아무도 구명보트에 올라타려고 하지 않았다. 결국, 구명보트에 탄 사람들과 얼마의 군인들은 살아날 수 있었다. 버켄헤드의 뉴스는
영국뿐만 아니고 전세계에 충격을 주고 감동을 주었다. 이 사건 이후로 버켄버드의 군인들을 기리는 기념비가 곳곳에 세워졌으며 새로운 전통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과거에는, 배가 파산하게 되면, 목숨을 건질려고 하는 사람들로 아수라장이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그러나 "여자들과 아이들 먼저!" 라는 개념은 버켄해드의 이야기에 의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 특히 영국에서는 새로운 전통이 형성되었다.
그들이 배에서 아주 위험한 재난에 봉착했을 때, 승무원들은 서로 서로에게 나직하게 말한다, "버켄헤드 호를 기억하라" (모셔온 글)
Thomas Hemy's famous painting (circa 1892) of soldiers standing fast on HMS Birkenhead while the women and children
head off in a lifeboat in the background
1892년에 토마스 헤미가 그린 유명한 그림. 여자들과 어린아이들이 구명정에 타고 있는 동안 군인들은 선상에 부동자세로 서 있다
'마음의 양식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한 마음의 행복 (0) | 2014.06.25 |
---|---|
모든 꿈은 멋지고 소중하다 (0) | 2014.06.23 |
남의 자식 일에 정신 팔 때가 아니다 (0) | 2014.06.17 |
아들에게 엄마가 필요한 10가지 이유 (0) | 2014.06.16 |
딸에게 엄마가 필요한10가지 이유 (0) | 2014.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