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폴더/내폴더 (국내)6172 한성백제박물관 (2) 2월 16일에 올림픽공원에서 담아 온 한성백제박물관의 전시물 중 나머지 사진들과박물관 앞 지구촌공원 주변의 사진들을 올린다. 올림픽공원 안에 있는 한성백제박물관은 2천년 전 백제의 도읍이었던 서울의 당시 역사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술관이다. 2012년에 개관하였다. 678년의 백제 역사 중 493년 동안 도읍지이자 서울의 옛 지명이었던 '한성'의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기위해 설림되었다. 올림픽공원내 지구촌 공원을 사이에 두고 몽촌토성과 마주하고 있다. 총 6개층으로 구성되어있는 박물관은 3층에 하늘정원과 전망대, 2층에 비샾 레스토랑, 1층에 왕도 한성, 삼국의 각축과 영상체험관, 지하 1층에 안내데스크, 기획전시실, 서울의 선사, 뮤지엄 카페와 사무실지하 2층에 한성백제홀 강당, 정보자.. 2025. 2. 17. 한성백제박물관 (1) 올림픽공원은 집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어 매달 수차례, 매년 수십차례 다녀오는 곳이다. 그런데 올팍에 있는 한성백제 박물관은 오래전 몇차례 다녀오고 포스팅한 이래 큰 변화가 없어그간 포스팅을 극히 일부 사진을 제외하고는 한지가 오래되어 요즘 겨울철을 맞아 출사한 소재가 많지 않은 겨울철을 이용해 한성백제 박물관을 중심으로 출사를 다녀왔다. 위례성길가의 한성백제박물관 간판위례성길에서 담너머로 담은 한성백제박물관의 옆모습정면에서 담은 박물관 건물옥상 전망대로 오르는 길에서 담은 박물관 건물박물관 로비의 한성백제의 중심지였던 구역의 지도풍납토성의 건축과정풍납토성의 한 단면. 실물을 옮겨온 전시물이다. 풍납토성의 한 단면을 옮겨온 방법의 설명(예전에 담아온 사진)몽촌토성특별전시관에 준비중인 하타이트 .. 2025. 2. 17. 삼성 & 삼성 2월 11일 오전에는 삼성의료원 그리고 오후에는 삼성물산의 홍보센터에 다녀왔다.오전에는 나의 지병의 사후 관리차 삼성의료원에 다녀왔는데 다행히도 6개월 전보다는 개선된 상태이지만 약물치료는 계속하여야 한다고 해서 6개월치약을 또 처방 받아왔다. 삼성의료원은 봄에는 철쭉 꽃이 아름답게 만개하고 겹벚꽃과 튤립 그리고 라일락이푸르른 수목과 멋진 모습을 보이지만 한겨울이라 요즘은 볼거리가 없어 삼성의료원 정문 옆 소복히 내림 눈밭의 소나무 정원의 사진을 몇장 담아왔다. 오후에는 현재 재건축 추진중인 우리 아파트 시공에 단독 입찰한 삼성물산의 시공사 선정 투표와 추진위원회 총회가 이번 주말로 예정되어 있어 삼성물산 홍보관에 마련된 우리 아파트의 모델 하우스 공개와 설명회에 다녀왔다.아래 홍보관에서 담아온 .. 2025. 2. 16. 뚝섬한강공원의 밤 (2) 정월대보름 다음날인 2월13일 저녁에 다녀온 뚝섬한강공원의 야경 사진중 자벌레와영동대교 주변의 사진을 어제 올린데 이어 오늘은 지난해 개최되었던 정원박람회장의야경 사진을 올린다.꽃을 중심으로 조성되었던 정원중 많은 부분은 철거되었지만 시설물 중심으로 조성되었던일부 시설은 그래도 남아있고 그곳에 화려한 조명을 설치해 나름 멋진 야경을 보여주고 있었다. 2025. 2. 15. 뚝섬한강공원의 밤 (1) 어제 저녁에 다녀온 뚝섬한강공원의 밤 풍경이다.원래는 이곳의 명물인 한강 이야기전시관 (뚝섬 자벌레)와 영동대교 그리고 한강공원의야경을 담을 목적으로 방문하였는데 뚝섬 자벌레는 이미 입장시간이 마감되었고한강변에는 무슨 공사인지 대형 공사들이 진행되고 있어 분위기가 어수선하였다.다행히도 지난해 개최되었던 정원박람회 전시물중 일부가 그대로 유지되어 있고야간 조명이 설치되어 있어 나름 볼만하였다.먼저 자벌레의 외부 모습과 영동대교 그리고 그 부근의 야경 사진부터 올린다. 자양역(뚝섬유원지역)에서 내려오면 만나는 식당겸 편의점영동대교 북단의 하부뚝섬자벌레의 꼬리 부분 (정식 명칭은 한강이야기전시관이지만 모습이 자벌레처럼 생겼다 해서 뚝섬자벌레라 한다)한강의 선상 불당영동대교영동대교와 보트장자벌레 하단의 장식.. 2025. 2. 14. 전쟁기념관 실내전시 (2) 2월 9일에 다녀온 전쟁기념관의 나머지 옥내 전시물의 사진들을 올린다.3층 규모의 옥내전시실은 삼국시대로부터 현대까지 5000년 대한민국 전쟁사와 위국 헌신한 분들의 공로와 훈장 등이 실물·디오라마·복제품·기록화·영상 등의 다양한 전시기법에 따라 역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전시되어 있다. 2025. 2. 13. 이전 1 2 3 4 ··· 10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