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의 양식/좋은글

論語중에서

by DAVID2 2015. 1. 22.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진이의 행동을 보고는 그와 같기를 생각하며,
어질지 못한 이의 행동을 보고는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

 

古者 言之不出恥躬之不逮也

"옛말에 말을 쉽게 내지 않는 것은
躬行(궁행:행동,몸소 행함,실천함)이 미치지 못할까 부끄러워서였다"

 

君子  欲訥於言而敏於行

"君子는 말하기에 어려워 하고, 實行에는 민첩하고자 한다"

 

德不孤  必有隣

"도덕자는 외롭지 않아, 반드시 친한 사람이 있는 것이다"

 

以約失之者鮮矣

"約으로서 잃는 자는 적다"
마음을 단속하므로서 이 잘못되는 자는 적다

 

人之過也 各於其黨觀過 斯知仁矣

"사람의 過失은 각기 그 무리대로 하는 것이니,
그 사람의 과실을 보면 仁을 알수 있다"

 

觀過知仁(관과지인) 

사람의 過失은 君子와 小人에 따라 판이한 바 君子의 過誤는 관대, 후정한 것이고

小人의 過誤는 잔인, 냉혹한 것이므로 仁과 不仁을 곧 알 수 있음을 뜻함.

 

- 里仁篇에서 引用

 

'마음의 양식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윈 세상  (0) 2015.01.29
행복에 이르는 지침 17가지  (0) 2015.01.28
신문배달 10계명  (0) 2015.01.21
좋은 남편 되는 법   (0) 2015.01.19
좋은 아내 되는 법  (0) 2015.01.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