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클래식

Beethoven / Violin Concerto in D Major 비교감상

by DAVID2 2014. 1. 7.
 

베토벤의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인 이 곡은  교향곡풍의 장대한 풍모를 지닌 작품으로 1806년,
그가 36세때 작곡했는데 이 작품 완성 16년전인1790년에 C장조로 작곡하기 시도했으나
제1악장의 전개부를 쓰다 중단한 일이 있었다. 그는 당시 명 바이올리니스트였던 크레멘토를
위해서 썼다고 전해지는데바이올린이라는 악기를 최대한 살리면서 오케스트라와 잘 조화시켜 작곡한
곡으로 그의 위대한 천재성이 유감없이 발휘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에는 평소 그의

작품 한 구석에 숙명처럼 머물고 있던 비극적인 그림자들 볼 수 없는 데 이 곡의 작곡을 전후로
테레제와의 약혼으로 생애중 가장 행복한 시기(1806년, 36세)를 맞고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테레제는 세이여를 비롯한 여러 연구가가 베토벤의 붙멸의 연인이라고 부른  여성으로 그가 고향 본에서

빈으로 이사 간지 얼마 안된 1790년대 중엽부터 그가 피아노를 가르치던 여성이었다
로맹 롤랑은 그의 베토벤의 생애에서 이 불별의 연인 테레제와 1806년 5월에 약혼하고 그 기쁨을

가눌 길 없어 마침 쓰고있던 교향곡 제5번을 중단 한 채 제4번을 단숨에 작곡했고 이어 같은 해에
바이올린 협주곡도 완성했다고 쓰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면, 1806년이 베토벤 생애 중 가장 행복한 한해
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연애 상대는 테레제가 아니고 동생인 요제휘네였다고 합니다.
 

Arabella Steinbacher, Violin

Fabrice Bollon Conducting Deutsche Radio Philharmonie Saarbrücken Kaiserslautern
  

 

Arabella Steinbacher

독일 태생의 바이올리니스트.
아라벨라는 다니엘 뮐러-쇼트와 더불어 차세대 유망한 바이올리스트로 급부상되고 있는 아티스트이다.
그녀는 “풍요롭고도 우아한 톤과 지성적인 해석을 들려주는 뛰어난 재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신예로서
그야말로 일취월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바이올리니스트이기도 하다.
아라벨라 스타인바허는 1981년 11월 14일,독일 뮌헨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3세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으며,9세 때에 뮌헨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Ana Chumachenko로부터
바이올린을 공부했다.
그후 아스펜에서 도로시 딜레이(Dorothy DeLay)와 쿠르트 사스만샤우스(Kurt Sassmannshaus)에게 사사했다.
2001년,안네 소피 무터 재단의 장학금 수혜자가 되고 바이올리니스트 안네 소피 무터의 후원을 받았다.
  그녀는 2000년 해외 무대에 정식 데뷔하면서 거물들과 호흡을 같이 하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2004년 3월,파리에서 라디오 프랑스 오케스트라와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하면서 성공적으로
데뷔한 이후 급속도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데뷔 이후 상트 페테르르부르크 필,런던 필하모닉,마드리드 방송교향악단,라디오 프랑스 교향악단,
뮌헨 방송교향악단, 콜로뉴 오케스트라와 잇단 협연 무대를 가져왔다.
그 가운데서도 유리 테미르카노프(Yuri Temirkanov)가 이끄는 상트 페테르부르크 필과 가진 독일 투어,
런던 필과의 미국 투어,뉴 재펜 필과의 도쿄 연주는 눈부신 성공을 거둔 여행으로 평가된다.
뉴욕에선 2006년 6월에 리사이틀을 가졌는데 스트라드 잡지는 이 리사이틀을 ‘이달의 특별한 연주회’로 선정했고,
뉴욕 타임스도 “릴리시즘과 열정의 균형”이라며 격찬했다.
그녀는 솔로이스트와 실내악 주자로 분망한 스케줄을 소화하고 있고,무대는 세계 여러 도시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레퍼토리는 고전과 낭만시대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현대음악으로도 확대하고 있다.
그녀는 현재 세계적인 메니지먼트 회사인 IMG 소속의 아티스트로 전세계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을 펼치고 있다.

 


Joshua Bell  


 

Isaac Stern, Violin 

Abbado conducting Orchestre National de Franc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