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날에
꽃들이 바다처럼 뒤덮이지 않는다면
어떻게 사람들을 취해 뇌쇄시키랴?
한기가 흰 겹옷을 파고들어도
천치마냥 푸른 봄을 잡아두려네.
앉은 자리는 눈이 온 듯 화사했건만
아침 비에 촉촉이 젖어 흙이 되었네.
한 해 한 해 어김없이 찾아오지만
저 풍경은 볼 때마다 처음 본 듯해.
春日
不有花如海(불유화여해)
那能醉殺人(나능취살인)
寒猶欺白袷(한유기백겁)
痴欲住靑春(치욕주청춘)
坐處明似雪(좌처명사설)
朝來雨浥塵(조래우읍진)
年年每到此(연년매도차)
當景輒如新(당경첩여신)
영·정조 시대 시인 여와(餘窩) 목만중(睦萬中·1727~1810)이 완전히 꽃에 취해 있다.
천지가 온통 꽃으로 뒤덮여 꽃의 바다 화해(花海)를 이뤘다.
그 바다가 펼쳐진 하루하루를 보낼 때면 꽃에 취해서 정신이 나가지 않을 사람이 어디 있을까?
모두가 꽃 때문이다.
아직 물러가지 않은 한기가 옷깃을 스며도 좋다.
이 봄이 더 깊어가지 말라며 시간의 허리를 꼭 붙잡고 떼쓰고 싶다.
바보 천치라고 비웃어도 좋다.
하나 어제 눈이 온 듯하였던 그 자리에는 비에 촉촉이 젖은 꽃잎이 깔려 있다.
꽃이 핀 그곳에는 한 해도 빠짐없이 갔었다.
그래도 늘 처음 본 것처럼 새롭다.
올해도 꽃의 마법에 걸린 듯 화해를 헤엄쳐 건넌다.
안대회 | 성균관대 교수·한문학
'마음의 양식 > 문학·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World's Best Museum (세계적인 문화와 예술의 보고) (0) | 2014.07.12 |
---|---|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들 (0) | 2014.05.18 |
김수환 추기경의 기도하는 손 (0) | 2014.04.02 |
2013년도 내셔날 지오그래픽 사진 컨테스트 출품작 (0) | 2014.03.07 |
Mary Elizabeth Frye / Do Not Stand at My Grave and Weep (0) | 2014.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