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길을 물으면 이렇게 대답합니다.
"저쪽 코너에 호프집이 있거든요.
거기서 오른쪽으로 돌면 막걸리 집이
보입니다.
거기서 300미터 직진하면 됩니다!"
신부님에게 길을 물으면
"저기 성당 보이시죠?
그 성당을 지나
100미터 정도 가면 2층에 성당이 보입니다.
그 성당을 끼고 오른쪽으로 돌면 됩니다 "
사람들에게 ' + ' 가 그려진
카드를 보여주면
수학자는 덧셈이라 하고 산부인과 의사는 배꼽이라고 합니다.
신부님은 십자가라고 하고,
교통경찰은
사거리라고 하고,
간호사는 적십자라고 하고,
약사는 녹십자라고 대답합니다.
모두가 다 자기 입장에서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다른 사람이 (틀린)것이 아니고 (다를) 뿐입니다.
그래서 사람은 비판의 대상이 아니라
늘 이해의
대상입니다.
<출처: 따뜻한 하루>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이 무조건 그쪽 의견에 동의하거나
당신이 틀리고 그 사람이 옳다고 말하라는 게 아니다.
그 사람의 말과 행동을 인격적으로 존중해 주라는 뜻이다.
상대방의 입장, 그 사람이 옳다고 믿고 있는 사실을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귀 기울이고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 조나단 로빈슨 -
'마음의 양식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행 (同行)의 중요성 (0) | 2015.03.13 |
---|---|
말(言)에 담긴 지혜(智慧) (0) | 2015.03.12 |
영원한 뽀빠이 (0) | 2015.03.09 |
羊 (0) | 2015.03.05 |
반려(伴侶) (0) | 2015.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