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다리로 20초 이상 서 있지 못한다면~!
치매·뇌졸중
위험신호
한쪽 다리로 20초 이상 서있지 못하면 뇌졸중이나 치매
위험의 위험신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9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들은 일본 교토대학 야수하루 타바라 교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19일(현지시간) 영국 텔레그래프 등 외신들은 일본 교토대학 야수하루 타바라 교수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한쪽 다리로
균형잡기를 20초 이상 하지 못하면 뇌의 미세출혈이나 증상 없는 뇌졸중인 열공성 뇌경색
또는 치매의 위험신호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타바라 교수는 노인의 불안정한 자세와 뇌졸중 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67세 노인 1387명
타바라 교수는 노인의 불안정한 자세와 뇌졸중 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 67세 노인 1387명
(남 546명, 여 841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실시했다.
타바라 교수는 이들에게 눈을 뜨고 한쪽 다리로 최대 60초 동안 균형을 잡도록 했다.
타바라 교수는 이들에게 눈을 뜨고 한쪽 다리로 최대 60초 동안 균형을 잡도록 했다.
모두
두 번씩의 기회를 주고 이 중 더 오래 버틴 시간을 택했다.
이후 외발서기 자세에 따른 평가와 함께 뇌 MRI를 촬영했다.
이후 외발서기 자세에 따른 평가와 함께 뇌 MRI를 촬영했다.
또 설문조사를 이용해
인지손상을 평가하고 동매경화지표로서 경동맥 중막 두께를 초음파를 통해 측정했다.
그 결과 무증상 뇌혈관 손상이 한 곳에서만 나타난 사람은 16%가 외발서기를 20초 이상 하지 못했으며,
그 결과 무증상 뇌혈관 손상이 한 곳에서만 나타난 사람은 16%가 외발서기를 20초 이상 하지 못했으며,
2곳에 손상이 있는 사람은 34.5%가
외발서기를 오래하지 못했다.
또한 뇌실질내 출혈이 1곳일 때는 15.3%가, 2곳일 때는 30%가 20초 이상 외발서기를 하지 못했다.
또한 뇌실질내 출혈이 1곳일 때는 15.3%가, 2곳일 때는 30%가 20초 이상 외발서기를 하지 못했다.
이러한 노인들은 인지기능 테스트 점수도 낮게 나타났다.
타바라 교수는 "외발서기의 불안정성에 대한 간단한
측정만으로도 뇌 이상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며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뇌 손상과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이 큰 만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 의학전문지 '뇌졸중'(Stroke) 최신호에
게재됐다.
<펌>
'기타 >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심코하는 잘못된 습관 (0) | 2016.04.17 |
---|---|
대장암 예방 수칙 10 (0) | 2016.04.09 |
수첩에 적어놓아야 할 건강 생활수칙 20. (0) | 2016.03.16 |
같이 먹으면 안되는 상극식품 (0) | 2016.03.09 |
자투리 시간 웰빙법 (0) | 2016.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