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노 / 아베 마리아 Renata Tebaldi, soprano New Philharmonia Orchestra (Anton Guadagno, cond.)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멜로디를 작곡한 것으로 경건한 분위기와 깔끔한 선율로 종교적 감명을 받게 하는 곡이다. Ave Maria, gratia plena Dominus tecum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s Jesus. Ora Pro nobis Nobis peccatoribus |
Kathleen Battle/Christopher Parkening
|
들어가 작곡 등을 공부하였다. 1839년에는 로마대상을 받아 이탈리아에 유학했다. 그후 독일을 거쳐 프랑스에 돌아온 후부터 극장음악에 흥미를 갖고 공부하였으며, 몇 차례 실패작을 쓴 후 《벼락치기 의사》(1858)와 대표작《파우스트 Faust》(1859)의 성공으로 오페라 작곡가로서 유명해졌다. 그후 《로미오와 줄리엣》(1867) 등의 몇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오페라는 직접 합창단을 만들어 자작과 고전적 종교작품의 소개에 힘썼다. 어린 구노는 음악 신동이라 불렸다. 빠리 외방 선교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 다녔는데 같은 학급에는 구노가 따라잡을 수 없을 소위 '음악 천재'가 있었다. 두 사람은 친한 친구였고 선의의 경쟁자였다. 어느덧 세월이 흘러 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할 나이가 되었다. 당연히 그 친구가 음악을 하리라고 생각했던 구노는 신학교에 들어간 친구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렇게 두 사람은 헤어졌습니다. 바람결에 들려오는 소식에 그 친구 소식도 묻어 왔다. 싶었는데 어느새 중국으로 발령받아 갔다는 소식만 접하게 되었다. 신앙심이 깊었던 구노는 그 친구를 위해 틈틈이 기도를 했다. 오랜 사목 후에 휴가라도 오면 옛 추억을 나누며 차를 함께 마실 수 있을 것이라고. 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했다. 가끔씩 학교 게시판에는 붉은 글씨로 ".... 순교" 라는 메모가 붙어 있었다. 그것을 볼 때마다 평화 속에서 주님을 믿는 순박한 사람들은 전율을 금치 못했다. 마음이 없지 않았지만 그래도 선교의 자유가 주어진 중국이기에 내심 안도했다. 어느날 게시판에 그 친구의 이름이 나왔다. 빨간 글씨는 아니어서 안심을 했지만 내용을 읽어본 구노는 경악스러웠다. 그 친구가 "조선 대목구 주교"로 임명되어 죽음의 땅 "조선"으로 발령받았다는 소식이었다. 구노는 눈앞이 캄캄했다. 한번 들어가면 살아 나오기 힘들다는, 아니 거의 불가능하다는, 차라리 순교하기 위해서 조선으로 들어간다는 말까지 횡횡했던 바로 그 "죽음만이 기다리는" 단 한번만이라도 만날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를 드렸다. 어느 주일날이었다. 가족들과 학교 정원에서 산책을 하던 구노는 요란하게 울리는종소리를 들었다. 마음이 불안해졌다. 삼종 시간도 아닌데 이렇게 요란하게 종이 울린다는 것은 불길한 징조였다. 의례 그랬듯이 순교자가 또 나온 것이 아닐까.... 불안한 마음에 달음질 쳐서 뛰어간 구노는 실신지경이 되었다. 게시판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엥베르 주교 조선에서 순교" 눈물이 앞을 가려 서 있을 수 조차 없던 구노는 정신없이 뒷동산으로 뛰어갔다. 언제나 변함없이 자비로운 눈길로 우리를 내려다 보시는 성모상 앞에서 구노는 목놓아 울며 성모송을 바칠 수 밖에 없었다. 영광스러운 성인의 관을 쓰신 성 엥베르 주교를 기리며 만들어진 노래가 "구노의 아베마리아"다. 그 지구 반대편, 인종도 모르고 언어도 통하지 않는 그 당시 서구인들의 시각으로 보자면 미개한 나라 불쌍한 백성들을 위해 하느님의 씨앗을 뿌린 성인 엥베르 주교는 지금도 명동 대성전 지하에 잠들어 계신다. 최양업 신부님의 아버지이시며 전교 회장을 역임하시다 역시 순교하시고 성인반열에 오르신 "성 최경환 베드로"와 나란히...... 아버지는 유명한 화가이며 어머니는 피아노를 잘치는 예술적 환경에서 자라난 그는 한때 사제가 되려한 열심한 신자였다. 1841년에는 미사곡을 로마에서 초연하였으며, 레퀴엠 등의 종교곡을 작곡하였다. 1851년 "사포"를 작곡하고 1859년 "파우스트"로 대성공하고, 1867년 "로미오와 줄리엣"을 작곡하는등 사회적 명성을 얻었으나, 1855년 성녀 세실리아 장엄미사를 작곡하고는 세속적 명성을 버리고 종교 음악에 전념케 되었다. 작곡 활동을 하였다. 1875년 파리로 돌아온 뒤로 오페라를 작곡하였으나 대부분 실패하고 만년의 10년간은 조용한 생활을 즐기며 종교에 심취, 3개의 오라토리오 《토비》《속죄》《죽음과 삶》 등을 작곡. 빠리외방전교회 성가대장이었을 때, 당시 조선에서 전교하던 빠리외방전교회의 사제들이 순교하는 소식을 듣고, 영감을 받고 즉흥적으로 성가 '아베 마리아'를 작곡하였다. 이 성가는 조선교회와 순교자를 위한 성가이며, 우리나라를 위한 구노의 단 하나의 성가이다. <펌> |
'음악 > 클래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Johannes Brahms / Waltz in Ab major Op.39-15 (0) | 2012.09.15 |
---|---|
Rachmaninov/Rhapsody on a Theme of Paganini Op.43 (0) | 2012.09.12 |
Verdi / Requiem 中 Dies irae (진노의 날) (0) | 2012.09.09 |
Albinoni/Adagio for Organ Violin & Strings in G minor (0) | 2012.09.06 |
Delibes / Lakme 중 Flower Duo (0) | 2012.09.03 |
댓글